맨위로가기

개성 김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성 김씨는 경순왕의 후예 김용주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에 대한 여러 설이 존재하며, 김준을 시조로 하는 설과 김현선을 시조로 하는 설이 있다. 또한, 고려 태조 왕건의 후손이 조선 왕조의 탄압을 피해 성을 김씨로 바꾸었다는 설도 존재한다. 본관은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이며,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의 김준, 김지선, 조선 시대의 김황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성 김씨 - 김응환
  • 개성 김씨 - 김득신 (화가)
    김득신은 조선 시대의 화가로, 도화서 화원 출신이며 자연과 풍속화에 능하여 영조 때 심사정, 정선과 함께 삼재로 불렸고, <곽분양자 행락도>, <파적도> 등의 작품을 남겼다.
개성 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개성 김씨
계림사
김알지가 태어난 계림
기본 정보
관향개성특별시
시조김용주(金龍珠)
중시조김준(金晙)
원시조김알지(金閼智)
집성촌평안남도(평남) 용강군, 충청북도(충북) 영동군
주요 인물김원, 김황, 김지, 김절, 김여량, 김응환
2000년 인구20,341명

2. 역사

개성 김씨 시조 김용주(金龍珠)는 경순왕의 후예로, 1054년(고려 문종 8) 문과에 급제하였다. 그는 여진족 정벌에 공을 세워 추충공신에 책록되고, 개성부사 평장사에 올랐으며, 개성군(開城君)에 봉해졌다.

2. 1. 시조에 대한 여러 설

개성 김씨의 시조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진다.

  • 《증보문헌비고》 및 《조선씨족통보》 등의 문헌에 따르면 시조는 김준(金晙)이다. 김준은 고려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병부·예부·이부상서를 지냈고, 고려 예종 때 여진을 평정한 공으로 평장사에 올랐으며 시호는 정신공(貞愼公)이라고 한다.[1]
  • 『조선명신록(朝鮮名臣錄)』에 따르면 개성 김씨 시조는 신라 김알지의 후예로 고려 시대 장군을 지낸 김현선(金玄繕)이라고 한다.
  • 『개성김씨 세계보』에 따르면 고려의 인물로 김현기(金玄器)·김현덕(金玄德) 등이 있는 것으로 보아 김현선(金玄繕)은 그들과 같은 형제로 개성 김씨에서 개령 김씨로 분적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 《김씨 분관록》에서는 개성 김씨를 혹칭 개령 김씨라 하며 시조가 김현선(金玄善) 또는 김준(金晙)이라고 한다.
  • 《증보문헌비고》에서는 개성 김씨와 개령 김씨를 별도 성씨라 하고, 개성 김씨 시조는 김준(金晙)이며, 개령 김씨 시조는 김현선(金玄善)이라고 한다.[2]


한편, 김용주(金龍珠)는 경순왕의 후예로 1054년(고려 문종 8) 문과에 급제하고 여진족 정벌에 공을 세워 추충공신에 책록되고, 개성부사 평장사에 오르고 개성군(開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2. 2. 동성 동본 및 분적

고려 시대 장군을 지낸 '''김현선'''(金玄繕)이 개성 김씨의 시조라고 한다.[2] 김현기(金玄器)·김현덕(金玄德) 등이 고려의 인물인 것으로 보아, 김현선은 이들과 형제 관계로 개성 김씨에서 개령 김씨로 분적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씨 분관록》은 '''개성 김씨'''를 '''개령 김씨'''라고도 하며 시조가 '''김현선'''(金玄善) 또는 '''김준'''(金晙)이라 한다고 기록한다.[2] 반면 《증보문헌비고》는 '''개성 김씨'''와 '''개령 김씨'''를 별개 성씨로 보며, 개성 김씨 시조는 '''김준'''(金晙), 개령 김씨 시조는 '''김현선'''(金玄善)이라 한다.[2]

설성 김씨(雪城 金氏) 시조 김지선(金之宣)은 고려 보문각 대제학을 지냈으며, 아버지는 정신공 '''김준'''(金晙)이다.[3]

2. 3. 발상지에 대한 논란: 개성 왕씨 후손설

조선 이씨 왕조가 고려 왕족인 왕씨 일가를 섬멸하는 과정에서, 개성 왕씨의 일부가 왕씨 말살 정책을 피해 성을 김씨로 고쳤다는 설이 있다.[4]

개성 왕씨 후손이라고 불리는 이들은 600여 년 전 고려가 망하고 이씨 왕조가 들어서면서 송도(개성)에서 강원도 홍천군 남면 시동리 삼은 마을로 피난하여 생활했다고 한다.[4]

처음에는 고개 너머 시동 4리에 자리를 잡으려고 했으나, 너무 광활하고 방어에 필요한 은신처와 망을 볼 수 있는 산이 없어,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협소하여 방어가 쉬우며 뒤에 뾰족한 산이 있어 사주 경계도 가능한 삼은 지역에 정착했다고 한다.[4]

삼은 마을은 동은(동쪽으로 잠깐 거쳐 간다, 은신했다 간다), 서은, 하은을 뜻하며, 동네에서는 동거른다리, 서거른다리, 아랫거른다리라고 부른다. 망덕산은 동은 마을 뒷산의 아주 뾰족하게 생긴 산인데, 이곳에 올라가 노심초사하며 항상 망을 보았고 매월 1일과 15일에는 개성을 향해 망향제를 지냈다고 한다. 처음에는 이 산을 고려가 망했으니 패망산이라고 했다가, 개성이 그리워 개성에 있는 산 이름인 덕물산이라고 했다가, 어느 날 소승이 와서 자고 가면서 '망덕산이라고 하십시오'라고 한 후부터 지금까지 망덕산이라고 부른다.[4]

이들은 고려 왕족의 후예이기 때문에 왕씨라고 하면 죽으니, 개성에서 왔다는 뜻에서 본관을 '''개성 김씨'''로 하고 살았다고 한다. 그래서 이 지역 주민들은 개성 김씨 또는 왕 김씨라고 불렀다고 한다.[4]

이 일대의 땅과 산이 거의 개성 김씨의 소유였는데, 이들이 망하여 외지로 가고 일부 산에 묘소만 많이 남아 있다. 개성 김씨의 종손 김수혁(경기도 청운면 도원리 풀무산)이 경향 각지의 종친들의 의견을 모아 조상들의 위패 봉안실을 망덕산 입구에 돔식으로 굴을 파서 15평 남짓한 곳에 "개성 김씨 위패 봉안실"이라고 써 붙여 놓은 시설을 만들고, 가을에 시제를 모시고 있는데, 이곳이 개성 김씨의 발상지라고 한다.[4]

3. 본관

개성은 고려의 수도였으며, 현재 황해북도 중서부에 있는 개성시이다. 삼한시대 대방의 옛터였던 개성은 고구려 때 부소갑으로 불렸으며, 신라 때는 송악군으로 개칭되었다.

919년(태조 2) 고려 태조가 송악지역에 도읍을 정한 다음 개성군을 합병해 개주라고 했으며, 신라를 복속한 후 국도가 되었다. 조선 왕조가 한양으로 천도한 이후 개성유후사를 설치하였다가 1438년(세종 20) 개성부로 고쳤다. 1914년 송도면으로 개칭되었으며, 1930년 개성부로 개칭되었다. 광복 후 1949년 개성시가 되었다가, 1953년 7월 휴전협정으로 인해 북한지역이 되었다.

4. 주요 인물

개성 김씨의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걸쳐 다양한 인물들이 있다. 고려 시대 인물들은 하위 섹션에 표로 정리되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창원부사를 지낸 김자양(金自陽), 문과에 급제하여 군수를 지냈고 중봉 조헌의 스승이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김황(金滉), 문과에 급제하고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킨 김유(金濡), 문과에 급제, 공주목사를 지내고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김지(金漬), 임진왜란 때 의사(義士)로 금산 전투에서 순절한 김절(金節), 1633년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친 김여량(金汝亮) 등이 있다.

4. 1. 고려

이름직위시호비고
김준이부상서, 평장사정신공(貞愼公)여진 정벌
김지선보문각 대제학
김지경상서
김원상장군문원공(文元公)
김남보판도판서조선조 영의정 추증
김남의사복경


4. 2. 조선


  • 김자양(金自陽): 창원부사를 지냈다.
  • 김황(金滉): 문과에 급제하여 군수를 지냈고, 중봉 조헌의 스승이었으며, 임진왜란 때 거병하였다.
  • 김유(金濡):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거병하였다.
  • 김지(金漬): 문과에 급제하여 공주목사를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다.
  • 김절(金節): 임진왜란 때 의사(義士)로, 금산 전투에서 순절하였다.
  • 김여량(金汝亮): 1633년(인조 11) 문과에 급제하여 권지승문원부정자, 음성현감, 김제군수, 창원부사, 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참조

[1] 문서 김준
[2] 문서 개령 김씨
[3] 문서 설성
[4] 웹인용 개성김씨 발상지 http://www.oneclick.[...] 2019-0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